메타버스 시대, 학술 커뮤니케이션 방식의 변화

김규환 | 인천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부교수, 소셜데이터사이언스연계 전공 주임교수

2020년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한 온라인 방식의 일상화

2020년 Covid-19 팬데믹이 시작되면서 학술 커뮤니케이션 방식에서도 큰 변화가 일어났다. 지금까지 오프라인으로 진행해 왔던 많은 학술 행사들이 온라인 화상회의 도구를 활용하여 비대면 온라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학술발표대회가 Zoom에서 개최되거나, 국제 컨퍼런스가 MS Teams를 활용하여 개최되었다. 초기에는 학술 행사를 준비하는 학회나 행사에 참여하는 참가자 모두가 온라인 방식의 행사가 낯설었고, 실제로 행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많은 시행착오를 겪기도 했다. 그런데 지금은 오프라인 행사보다 온라인 행사를 오히려 더 편하다고 느끼며 심지어 가능하면 행사가 오프라인보다는 온라인으로 진행되기를 은근히 더 바라게 된 것도 사실이다. 이제 학술 커뮤니케이션에서 온라인 방식은 우리 모두에게 일상적 현상이 되어 가고 있다.

2021년 메타버스 플랫폼 등장으로 인한 새로운 온라인 공간으로의 이동

2021년도에 들어서면서 새로운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으로 메타버스 플랫폼이 등장하였다. 메타버스 플랫폼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메타버스라는 개념부터 이해할 필요가 있다. 메타버스는 사람들이 자신의 ‘부캐’1)에 해당하는 아바타를 이용하여 상호작용하는 가상세계를 의미한다. 그리고 메타버스를 온라인에 구현해 놓은 것을 메타버스 플랫폼이라고 한다. 메타버스 플랫폼 중국내 이용자들에게 가장 친숙한 사례들로는 제페토(ZEPETO)와 이프랜드(iFland), 게더타운(Gather Town)이 있다.

학술 커뮤니케이션에서도 새로운 메타버스 플랫폼들을 활용하는 것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이때 메타버스 플랫폼별로 지원하는 기능과 서비스의 특징을 먼저 파악해야 한다. 특히 학술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자료 공유가 가능한지와 프레젠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지를 우선적으로 살펴보아야 한다. 국내에서 활용도가 높은 제페토, 이프랜드, 게더타운의 주요한 특징을 간략하게 정리하여 제시하면 표 1과 같다.

<표 1> 제페토, 이프랜드, 게더타운의 주요 특징

제페토・ 2018년 출시된 아바타 기반의 SNS 플랫폼. 모바일 기반이며, 아바타로 가상공간에서 활동하면서 음성 및 문자 채팅을 통해 상호 소통이 가능함. 다만, 자료 공유 및 프레젠테이션을 현재까지 지원 하지 않고 있음.
이프랜드・ 제페토에서 제공하는 공간 템플릿뿐만 아니라 가상공간을 별도로 직접 제작할 수 있음.
게더타운・ 2020년도 출시된 화상 회의 플랫폼으로 PC와 모바일 기반이며 아바타로 가상공간에서 활동하면 서 1:1, 1:N, N:N의 화상회의가 가능함. 음성 및 문자채팅, 외부 콘텐츠 연결을 통한 자료 공유와 함께 Zoom과 같은 화면 공유가 가능함.
・ 게더타운에서 제공하는 공간 템플릿뿐만 아니라 가상공간을 별도로 직접 제작할 수 있음

자료 공유와 프레젠테이션이 필요한 학술 행사의 경우에는 이프랜드와 게더타운을 활용할 수 있다. 만약 가상공간을 별도로 직접 제작해야 할 필요가 있고 해당 가상공간에서 자료 공유 및 프레젠테이션 기능을 활용하여 학술 행사를 진행해야 한다면 이프랜드보다는 게더타운을 활용할 것을 추천한다. 한편, 자료 공유 및 프레젠테이션보다는 가상공간을 체험하거나 가상공간 속에서 전시 및 공연을 진행하고자 하면 제페토를 활용해 볼 것으로 추천한다.

AR/MR/VR 기반 원격 협업 플랫폼 등장으로 인한 미래 학술 커뮤니케이션 방식

앞서 제시한 제페토와 이프랜드, 게더타운은 PC와 스마트폰 기반 2D/3D 메타버스 플랫폼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향후 메타버스 플랫폼 시장은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혼합현실(mixed reality, MR)/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기기 기반의 3D 원격 협업 플랫폼으로 진화할 것이다. 대표적인 사례들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AR 기반 원격 협업 플랫폼: Spatial (그림 1)
- AR 헤드셋을 착용하여 참석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에서 AR 앱으로 참석하거나 PC로도 참석이 가능함.


<그림 1> AR 기반 원격 협업 플랫폼: Spatial

2) MR 기반 원격 협업 플랫폼: MS Mesh (그림 2)
- 서로 다른 지역에 있는 연구자들이 같은 방에 있는 것처럼 느끼도록 지원하는 혼합현실 협업 공간 구축이 가능함. 현재 의학, 전기공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시공간을 초월하여 협업을 진행하고 있고 MS Teams와 MS Dynamics 365등과의 통합이 예정되어 있어 보다 강력한 원격 협업 플랫폼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음.


<그림 2> MR 기반 원격 협업 플랫폼: MS Mesh

3) VR 기반 원격 협업 플랫폼: Facebook Infinite Office (그림 3)
- 페이스북이 개발한 오큘러스 퀘스트 2를 착용하여 가상공간 속 3D 가상 협업 공간을 구축할 수 있음. 현실 세계의 물리적 책상과 의자를 가상공간에 동일하게 매핑하여 사용할 수 있고 블루투스 키보드와 마우스를 가상 키보드와 마우스로 매핑하여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음.


<그림 3> VR 기반 원격 협업 플랫폼: Facebook Infinite Office

새로운 학술커뮤니케이션 방식으로서의 메타버스는 우리 앞에 이미 다가와 있다. 앞으로는 지금보다 더 다양한 메타버스 플랫폼들이 등장할 것이며, 학술 커뮤니케이션에 관계된 주체들은 각자의 선택에 따라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하여 다양한 학술적 활동을 진행해 나갈 것이다. 이에 지금부터 학술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메타버스와 메타버스 플랫폼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고 현실적으로 극복해야 할 한계점도 함께 논의해보면 좋을 것이다.

참고문헌

1. 김상균, 신병호. 메타버스 새로운 기회. 베가북스;2021

2. 서상원, 김규환. 도서관 비대면 서비스를 위한 메타버스 플랫폼 선정에 관한 연구. 제 28회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21. pp. 67~72.

3. 이승환. 메타버스 비긴즈: 인간×공간×시간의 혁명. 굿모닝미디어; 2021.

4. 최형욱. 메타버스가 만드는 가상경제 시대가 온다. 한스미디어; 2021.

1) 부캐릭터의 줄임말. 본캐릭터(본캐)와 구별되는 자신의 두 번째 캐릭터를 의미한다. 원래는 게임에서 쓰이던 말이었으나 최근에는 메타버스 등에서 현실 세계의 자아와 구분되는 제2의 자아를 뜻하는 아바타(avatar)와 함께 사용되고 있다.

Copyright by Korean Council of Science Editors
The Korea Science & Technology Center 2nd floor, 22 Teheran-ro, 7-gil, Gangnam-gu, Seoul 06130, Korea
Tel: +82-2-3420-1390   Fax: +82-2-563-49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