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의 전문가 심사 과정 기간에 대한 COVID-19의 영향

오세종 | 전남대학교 동물자원학부

서 론

유례없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2019 (COVID-19)의 세계적인 확산으로, 현존하는 사회 시스템과 산업이 전 세계에 걸쳐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 한국전쟁의 어려운 시기에도 학교는 한 번도 문을 닫은 적이 없었지만, 지난 2020년 3월 1일 이후 학교를 폐쇄했고, 이는 바이러스의 영향이 전국적으로 얼마나 심각했는지를 잘 보여준다. 과거 전세계적으로 발생했던 대공황(1929)의 특징은 과잉 생산으로 인해 생산과 공급에 차질이 빚어졌다는 것인데, COVID-19로 인한 모든 시스템의 봉쇄는 대공황 때도 없었던 것으로 교육, 생산 및 공급 차질은 물론 교역과 물류의 중단을 발생시켰다.

한국에서 COVID-19의 첫 사례는 2020년 1월 21일에 보고되었다[1]. 이 바이러스의 확산을 막기 위한 한국 정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감염 건수는 2020년 2월 말에 급속도로 증가하기 시작했다. 이후 한국정부는 국민들에게 대면 접촉을 자제할 것을 통보하고 단체 회의를 금지했다. 2020년 3월 22일에는 일상생활의 재개를 위해 사회적 거리부여 정책을 시행하였다.

이 에세이는 한국축산학회가 발간하는 학술지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JAST, ISSN 2055-0391)의 편집 과정에 미치는 COVID-19의 영향을 분석한 것으로, COVID-19가 JAST의 편집 처리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원고가 최종 게재 승인을 받는데까지 걸린 총 시간(일수)을 비교하였다.

JAST의 전문가 심사 소요 시간

JAST는 1958년 국내 축산학을 주제로 한 국문 학술지로 창간되었고, 국제 학술지로의 확장을 위해 2014년부터는 영문으로 출간되었다. JAST는 2015년 PubMed Central에 등재되었으며 2019년 Scopus 및 SCIE에 등재되었다.

JAST에 발표된 총 연구 편수를 감안할 때 COVID-19 전과 후에 발표된 논문의 수를 직접 비교하는 것은 다소 문제가 있는데, 이는 JAST가 2019년 10월 SCIE에 등재된 이후 국내 저자가 접수하는 논문의 수가 크게 증가했기 때문이다. JAST는 논문 수 증가로 2020년도부터는 에디터의 수와 심사자 pool을 더 확충시켰다. 따라서 COVID-19에 대한 영향을 평가할 때 접수논문 수를 비교하는 것보다는 투고된 논문 원고의 판정까지 걸리는 평균 처리 시간(average processing time, APT)을 비교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했다. 본문에서 언급한 APT는 원고 투고일로부터 게재 결정을 받기까지 걸리는 평균 총 시간을 의미한다.

투고 원고 대부분은 국내 심사자들이 검토하고 일부는 해외 심사자들이 담당하는데, 한정된 심사자 pool 때문에 국내 심사자들은 대부분 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교수와 연구원들이다. 이러한 특징으로 APT는 한국 대학의 상황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 한국의 학제는 봄학기는 3월에 시작해서 6월에 끝나고 가을학기는 9월에 시작해서 12월에 끝난다. 1학기가 종료된 이후인 7월과 8월에는 컨퍼런스나 휴가, 개인 여행이 많기 때문에 APT가 다른 월보다 상대적 으로 높았고 나머지 계절에는 다소 높낮음이 있었다(그림 1). COVID-19의 확산이 진행되는 2020년 2월 이후를 살펴보면, 2020년 4월의 APT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그림 1).


그림 1.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에 투고된 원고의 평균 처리 시간. 평균 처리 시간은 원고가 최종 결정을 받는 데 걸린 평균일수를 뜻한다.

투고 원고 대부분은 국내 심사자들이 검토하고 일부는 해외 심사자들이 담당하는데, 한정된 심사자 pool 때문에 국내 심사자들은 대부분 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교수와 연구원들이다. 이러한 특징으로 APT는 한국 대학의 상황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 한국의 학제는 봄학기는 3월에 시작해서 6월에 끝나고 가을학기는 9월에 시작해서 12월에 끝난다. 1학기가 종료된 이후인 7월과 8월에는 컨퍼런스나 휴가, 개인 여행이 많기 때문에 APT가 다른 월보다 상대적 으로 높았고 나머지 계절에는 다소 높낮음이 있었다(그림 1). COVID-19의 확산이 진행되는 2020년 2월 이후를 살펴보면, 2020년 4월의 APT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그림 1).

COVID-19로 인해 3월과 4월에 개학이 연기되었고 4월 9일에는 대학이 온라인 수업을 시작하였는데, 봄학기가 시작되는 3월부터 전체 사회 및 학교 시스템이 폐쇄되면서 새롭게 온라인 강의 준비 및 학사운영에 전념하게 되었다. 교수들은 온라인 강의, 업무 시간 및 학생들의 요구에 부응하는 데 필요한 기타 변경 사항을 준비할 시간이 거의 없었다. 이처럼, 투고된 원고의 심사를 담당하는 대부분의 대학 교수와 연구원들이 변화된 교육 시스템에 적응해야 했으므로, 4월에 투고된 논문 원고에 소요된 APT는 다른 달의 투고 원고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2020년 5월 이후 APT는 안정적으로 감소했고, 향후 자택에서 보내는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APT는 계속 4월보다 짧아졌다. 이러한 현상은 지속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그림 1).

대학을 포함한 전체 사회의 대봉쇄는 실험실 연구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생각된다. 일반적으로 논문을 발행하려면 먼저 데이터를 수집한 다음 원고를 집필, 제출, 검토 및 발행해야 한다. 실험실 폐쇄로 인한 새로운 연구 자료의 부족은 논문 원고의 작성 프로세스 및 그 이후의 심사 및 출판 프로세스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COVID-19의 초기 단계에서는 연구자들이 그 이전에 수집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논문을 작성하고 검토할 수 있었기 때문에 그 영향이 학술 출판에 적게 미쳤을 것이다. 그러나 COVID-19는 앞으로 학술지 출판 과정의 모든 단계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특히, 데이터 부족으로 인한 논문의 질적 저하 및 논문 원고 수의 감소 등을 예상할 수 있다.

대부분의 국제 저널 및 출판사는 이미 오픈 액세스를 채택했으며 디지털 및 가상 공간으로 전환하여 논문의 심사와 출판을 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저널의 편집팀은 논문 원고의 심사-출판에 별다른 어려움을 겪지 않고 있다.

향후에는 논문 원고의 표절과 자료의 정확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인공지능이나 머신 러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2]. 포스트 코로나-19 시대의 학술지 발전을 위해, 학술지를 출간하는 학회와 기관에게 이와 같은 대비 방안이 절실히 요구된다.

결 론

2020년 1월 한국에서 COVID-19가 처음 보고된 이후, JAST 학술지의 투고부터 최종 게재 결정까지의 기간에 다소 변동이 있었던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COVID-19로 인하여 JAST의 APT는 2020년 4월에의 경우 전년 대비 증가하였는데, 이는 심사자들의 논문 심사 시간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 JAST에서 2020년도부터 심사자와 에디터를 확충했음에도 불구하고 APT가 전년보다 증가한 것은 한국에서 1학기가 시작되는 3월부터 수업 방식이 원격 수업으로 변화한 과정에서 발생한 것으로 생각된다. APT는 한국의 상황에 따라 감소하다가 증가한 후 다시 감소하는, 예측이 어려운 변화를 보였다(그림 1). 이러한 현상은 JAST 논문 심사의 많은 부분을 담당하는 대학 교수와 연구원이 속해 있는 대학의 교육 환경 변화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COVID-19의 영향으로 발생한 ATP의 변화 현상이 다른 저널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는지는 단정하기 어렵다. 보다 많은 데이터를 이용해서 분석해야 JAST에서 나타난 APT의 변화가 일반적인 현상인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1. Huh S. How to train health personnel to protect themselves from SARS-CoV-2 (novel coronavirus) infection when caring for a patient or suspected case. J Educ Eval Health Prof 2020;17:10. https//doi.org/10.3352/jeehp.2020.17.10

2. Kim K. Artificial intelligence and publishing. Sci Ed 2019;6:89–90. https://doi.org/10.6087/kcse.168

Copyright by Korean Council of Science Editors
The Korea Science & Technology Center 2nd floor, 22 Teheran-ro, 7-gil, Gangnam-gu, Seoul 06130, Korea
Tel: +82-2-3420-1390   Fax: +82-2-563-4931